□ 개요 o Apple社는 자사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 [1] o 공격자는 취약점을 악용하여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, 해당 Apple 제품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□ 설명 o Safari에서 Use-After-Free로 인해 발생하는 임의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2-22590) 등 4개 [2] o macOS Catalina에서 버퍼오버플로우로 인해 발생하는 임의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2-22593) 등 5개 [3] o macOS Big Sur에서 버퍼오버플로우로 인해 발생하는 임의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1-30960) 등 7개 [4] o macOS Monterey에서 경계값을 벗어난 쓰기로 인해 발생하는 임의코드실행 취약점(CV..
□ 개요 o Apple社는 자사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 [1] o 공격자는 취약점을 악용하여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, 해당 Apple 제품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□ 설명 o Safari의 Webkit에서 메모리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임의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1-30749) 등 10개 [2] o macOS Catalina의 그래픽 드라이버에서 로직이슈로 인해 발생하는 임의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1-30684) 등 48개 [3] o macOS Mojave의 커널에서 로직이슈로 인해 발생하는 임의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1-30704) 등 42개 [4] o macOS Big Sur의 커널에서 로직이슈로 인해 발생하는 임의코드실행 ..
□ 개요 o Apple社는 자사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 [1] o 공격자는 취약점을 악용하여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, 해당 Apple 제품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□ 설명 o Safari, macOS(Big Sur), iOS, iPadOS, watchOS의 Webkit에서 메모리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임의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1-30665) 등 2개 [2][3][4][5][6] o iOS의 Webkit에서 버퍼오버플로우로 인해 발생하는 임의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1-30666) 등 2개 [6] □ 영향을 받는 버전 및 제품 o Safari : 14.1 이전 버전을 사용중인 macOS Catalina 및 Mojave o macOS ..